code

정책 시스템 기초 공략, 초보자 FAQ 답변

2022/05/25

1. 기초편

 

1. 정책은 무엇인가요?

이전의 ‘기술’을 의미합니다.

 

2. 정책 실시 개수는 어떻게 획득하나요?

이전의 기술은 명성 증가로 획득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도 명성이 증가하면 정책 실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정책 실시는 명성 500마다 획득할 수 있으며 5000 명성에 시작합니다.

시즌당 ‘시스템 정책’과 ‘문신 정책’을 포함해 최대 15개의 정책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image001

 

3. 모든 정책은 정책 점수가 필요한가요?

시작 시 일부 기본 정책을 획득합니다. 이전 시작 시와 마찬가지로 기본 ‘기술’은 자동으로 해제되어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기본 정책:

①군사: 보급, 훈련, 주둔, 소탕, 출정, 대기

②농업: 개발, 둔전

③상업: 시정, 거래, 세수

④토목: 요새, 분성, 건설, 변성

image002

 

4. 시스템 정책은 무엇인가요?

시스템 정책 은 2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그림과 같이 시작 시 보유하는 정책입니다.

다른 정책은 명성 증가 시 해제되어 실시 가능한 정책으로 변경됩니다. 아래 그림의 영지 방어, 승급 강화, 인부 등이 해당되며 정책 실시로 효과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후 얻는 시스템 정책을 획득하고 싶다면 중간에 드래그하면 ‘정책 실시’가 가능합니다.

image003

image004

 

후반부 해제되는 시스템 정책은 무장이 필요하지 않지만 정책 개수를 소모합니다. 그림에서 실시 가능한 정책은 6개지만, 시스템 정책 1개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정책 총 개수가 5개로 변경되며 ‘내정 점수’를 소모했습니다. 상시 정책 1개를 시전하려면 정책 갯수와 내정 점수라는 반환되지 않는 두 가지 자원을 소모합니다.

시스템 정책 실시 소모 내정 점수

정책

소모 내정 점수

정책

소모 내정 점수

감시탑

1

통솔

2

복구

1

영지 방어

3

개간 주둔지

2

승급 강화

3

척후주둔지

2

주둔 강화

3

표준 시공

2

예비 병영

3

창고

2

대형요새

4

인부

2

 

 

2. 심화편

 

5. 문신 정책은 무엇인가요?

시스템 정책으로 분류되는 문신 정책은 이번 개정판 업그레이드의 중점입니다. 상시 정책, 기술과는 다르지만 문신 정책에 적응하기만 한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문신 정책은 무장을 ‘출전 후 전투’하게 하지 않고 내정에 힘쓰게 하기 때문에 먼저 신분을 변경해야 합니다.

image005

 

6. 문신으로는 어떻게 변경하나요?

무장이 부대에 소속되어 있다면 변경할 수 없으니 먼저 ‘창고’에 넣으세요. 출전한 무장은 문신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image006

1회 변경 시 24시간의 쿨타임이 있으니 신중하게 변경하세요.

문신 변경 후, 무장 카드에서 해당 무장을 찾을 수 없으며 새로운 태그 【내정】 화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신 변경 후, 무장은 진술 임무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문신의 무장은 무장 레벨, 통치가 보이지 않습니다.

image007

 

7. 내정 점수는 무엇인가요?

내정 점수는 시스템 정책 또는 문신 정책 실시에 사용합니다. 주로 3가지 용도가 있습니다.

①시스템 정책 실시 시 내정 점수를 1~4 소모합니다. 현재 영지 방어, 승급 강화 정책의 경우 내정 점수를 3, 인부의 경우 내정 점수를 2 소모합니다.

②문신 정책 실시 시 내정 점수를 2 소모합니다.

③문신 정책 레벨업에 사용합니다. 내정 점수 1을 소모해 문신 정책을 1레벨 상승하고 내정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8. 내정 점수는 어떻게 획득하나요?

시즌2에서 명성 6000을 달성하면 내정 점수를 2 획득합니다. 명성이 100 상승할 때마다 내정 점수를 1 획득해 총 71까지 획득할 수 있습니다.

image008

(S2 내정 점수 화면)

다음 그림은 정복 시즌 계정으로, 정복 시즌 명성 5000 달성 후 내정 점수를 2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후 명성이 100 상승할 때마다 내정 점수를 1획득합니다. 명성 14000 달성 후 증가하지 않으며, 총 92까지 획득할 수 있습니다.

image009

(정복 시즌 내정 점수 화면)

 

3. 심화편

 

9. 문신은 어떻게 정책을 실시하나요?

내정 화면에서 ‘문신’으로 변경한 무장을 중간으로 드래그하면 됩니다.

image010

정책 실시와 무장의 레벨은 각성 여부와 무관합니다.

문신을 위치에 드래그한 뒤, 자동으로 해당하는 정책 유형이 점등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영제는 세수를 증가시킵니다. 위치에 드래그하면 ‘상업’ 글자가 점등하여 놓치지 않도록 알려줍니다.

image011

다시 ‘정책 실시’ 버튼을 터치하면 내정 점수를 2 소모하며, 해당 정책 위치에 영제의 내정 ‘매관매직’이 추가됩니다. 정책 효과는 세수 3000 증가입니다. 세수를 확인해 보면 3000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image012

주의: 문신 정책에도 동일하게 ‘정책 총 개수’를 소모합니다.

 

10. 정책 실시는 어떻게 취소하나요?

정책 실시 시 ‘정책 가능 개수’가 감소합니다. 그렇다면 이후 세수가 많아졌을 때 다른 정책을 실시하고 싶다면 어떻게 취소해야 할까요?

실시한 문신 정책을 취소하려면 무장 화면의 ‘정책 실시 취소’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내정 점수를 소모하지 않으며, 문신 정책의 정책 레벨을 유지합니다.

주의: 정책 실시를 취소하면 소모한 내정 점수는 반환하지 않으며 다시 정책을 실시할 때도 내정 점수가 2 소모됩니다. 정책 실시 취소 후 정책 가능 개수를 1 반환합니다.

 

11. 문신은 어떻게 심화하나요?

문신 심화 후 정책 강화 기능이 해제되며 정책을 레벨업할 수 있습니다. 영제의 ‘매관매직’의 경우, 1레벨 상승 시 세수가 333 증가합니다.

image013

‘심화’에는 성급과 진영이 동일한 무장 카드 2장이 소모됩니다. 시즌 변경 시, 심화 상태는 유지됩니다. 그림과 같이 호위와 진영이 같은 카드여야 합니다.

image014

 

12. 정책 효과는 어떻게 레벨업 하나요?

영제의 정책 ‘매관매직’은 1레벨 상승 시 세수가 333 증가합니다. 더 많이 레벨업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설마 매번 카드가 2장 필요한 걸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심화를 1회 완료하면 이후 내정 점수를 소모해 정책을 레벨업할 수 있습니다.

영제 심화 후 ‘매관매직’이 3레벨 증가합니다. 4레벨 달성 시 세수는 3000에서 4000으로 증가하며, 내정 점수를 3 소모해 81이 됩니다. 레벨업할 때마다 내정 점수를 1 소모합니다.

 

13. 심화는 어떻게 취소하나요?

영제의 ‘매관매직’ 15레벨 달성 후, 다른 정책을 실시할 내정 점수가 없어서 후회하고 있습니다. 심화 효과를 초기화하면 동일 성급, 동일 진영의 【호위】재료카드가 2장 반환됩니다. 내정 정책이 1레벨로 초기화되고 내정 점수를 100% 반환합니다.

초기화는 쿨타임이 비교적 길어 10일에 1회 진행할 수 있습니다.

image015

 

14. 초기 상태의 무장과 승급을 완료한 무장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초기 상태 무장의 내정 최고 레벨은 10입니다. 1회 승급할 때마다 레벨 상한이 1 증가해 최대 15레벨까지 증가합니다.

image015

 

15. 같은 이름의 SP 무장과 일반 무장은 전투/문신 무장으로 구별되나요?

구별되지 않습니다.

 

16. 유랑군은 몇 개의 정책을 실시할 수 있나요?

시스템과 문신 정책을 합쳐 총 6개 실시할 수 있습니다.

 

17. 무장을 문신으로 변경한 이후, 무장 칸은 증가하나요?

무장이 줄어들어 증가한 것 같아 보이지만 총 보유 카드 수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시즌 말에 모든 무장을 문신으로 변경한 뒤, 4성 전법 경험치를 더욱 많이 획득하는 방법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18. 초보자 5성 무장을 심화할 수 없어요.

S시즌에 진술 심화 임무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떤 무장을 문신으로 변경할지 신중하게 고려해 주세요.

 

이번 정책 업데이트 기본 안내를 해드렸습니다. 다음 기회에 무장이 어떤 정책을 실시하면 좋은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위의 내용은 【넷이즈 DS】의 노벽666유저님이 보내주신 내용입니다.

© 2022 NetEase, Inc. ALL Rights Reserved.